'촌수’와 '호칭’은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촌수’는 친족 간의 혈통 관계를 나타내는 숫자 체계로, 가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촌(寸)'은 우리말의 '마디’를 뜻하며, 이는 가족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촌 여동생이나 사촌 오빠와의 관계를 '사촌(4촌)'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바로 촌수를 나타내는 예입니다.
한편, '호칭’은 가족이나 친지를 부르는 이름을 말합니다. 이는 가족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호칭은 가족 간의 혈연적 거리를 나타내는 '촌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촌수’와 '호칭’은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 구조를 이해하고, 가족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가족 간의 혈연적 거리와 그에 따른 호칭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나를 기준으로 촌수
- 부부 사이: 무촌(無寸). 부부는 칼로 물 베기란 말처럼 가장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 부모와 자식 사이: 1촌
- 형제 사이: 2촌
- 조부(할아버지): 2촌
- 백숙부(큰아버지): 3촌
- 조카(형제의 자식): 3촌 고모: 3촌
- 종형제(사촌): 4촌
- 증조(큰할아버지): 4촌
- 종백숙부(당숙): 5촌
촌수 관계도
- 부부(夫婦), 즉 내외간: 한 몸과 같은 일신(一身)이라 해서 무촌(無寸) 부모와 자식 사이: 1촌
- 형제간: 2촌
- 조부모와 손자녀 사이: 2촌 숙백부모(叔伯父母)와 조카 사이: 3촌 조카들끼리, 즉 형제의 자식들 사이: 4촌 4촌의 자식과: 5촌
- 4촌의 자식들끼리: 6촌
- 3촌과 조카: 숙질(叔姪) 4촌 사이: 종항(從行)
- 5촌 사이: 당숙질간(堂叔姪間) 6촌 사이: 재종(再從)
- 재종, 즉 6촌의 자식과: 7촌 6촌의 자식들끼리: 8촌
- 7촌의 아저씨와 조카 사이: 재종숙질간(再從叔姪間)
- 8촌끼리: 삼종(三從)
우선 부부(夫婦), 즉 내외간은 한 몸과 같은 일신(一身)이라 해서 무촌(無寸)입니다. 그다음 부모와 자식 사이가 1촌이고 형제간은 2촌임. 조부모와 손자녀 사이도 2촌이죠. 숙백부모(叔伯父母)와 조카 사이가 3촌이고 조카들끼리, 즉 형제의 자식들 사이가 4촌이며. 4촌의 자식과는 5촌이 되고, 4촌의 자식들끼리는 6촌이 돼요.
3촌과 조카를 숙질(叔姪)이라 하고 4촌 사이를 종항(從行)이라 한다. 5촌 사이를 당숙질간(堂叔姪間)이라 하고 6촌 사이를 재종(再從)이라 한다. 재종, 즉 6촌의 자식과는 7촌이 되고 6촌의 자식들끼리는 8촌이 된다. 7촌의 아저씨와 조카 사이를 재종숙질간(再從叔姪間)이라 하여 7촌 숙은 재종숙이 되고 7촌 조카는 재종질이 된다. 8촌끼리는 삼종(三從)이 되어 맏이면 삼종형이고 아우이면 삼종제(三從弟)가 된다. <하루 상식 참고>
가족/집안 호칭정리
-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 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 증조할아버지: 할아버지의 아버지
- 증조할머니: 할아버지의 어머니
- 고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의 아버지
- 고조할머니: 증조할아버지의 어머니
- 며느리: 아들의 아내
- 사위: 딸의 남편
- 형수: 형의 부인
- 제수: 아우의 아내
- 매형: 누이의 남편
- 매제: 누이동생의 남편
- 큰아버지: 아버지의 큰형
- 큰어머니: 아버지의 형수
- 작은아버지: 아버지의 동생
- 작은어머니: 아버지의 제수
- 당숙: 아버지의 사촌형제
- 당숙모: 아버지 사촌의 부인
- 재당숙: 아버지 육촌형제
- 재당숙모: 재종숙(再從叔)의 아내, 아버지 육촌의 부인
-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이나 아우
- 종조모: 종조할머니(종조할아버지의 아내)
- 종형제: 사촌 관계인 형과 아우. 아버지의 조카
- 종수: 사촌 형이나 사촌 아우의 아내. = 조카며느리
- 재종형제: 육촌 형제. 당숙의 형제
- 재종수: 육촌 형제의 아내. 당숙의 며느리
- 조카: 형 아우의 아들딸
- 조카며느리: 조카의 아내
- 당질: '당질(堂姪)'은 사촌 형제, 곧 종형제의 아들
- 당질부: 사촌 아들의 아내 중손: 조카의 아들
- 재중손: 육촌의 손자
시가 호칭
- 시아버님: 남편의 아버지
- 시어머님: 남편의 어머니 시숙,
- 시아주버님: 남편의 형
- 동서: 남편 형제의 아내
- 시동생: 남편의 아우
- 시누이: 남편의 자매
처가 호칭
- 장인: 아내의 아버지
- 장모: 아내의 어머니
- 처백부: 아내의 큰아버지
- 처백모: 아내의 큰어머니
- 처숙부: 아내의 작은아버지 처숙모: 아내의 작은어머니 처남: 아내의 남자형제
- 처남댁: 처남의 부인
- 처조카: 처남의 아들, 딸 처조카며느리: 처조카의 아내 처형: 아내의 언니
- 처제: 아내의 여동생
- 동서: 아내 형제의 남편
- 가족 구조와 관련된 시집의 호칭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시아버님: 남편의 아버지
- 시어머님: 남편의 어머니
- 시숙, 시아주버니: 남편의 형 동서: 남편 형제의 아내
- 시동생: 남편의 아우
- 시누이: 남편의 자매
고모집호칭
- 고모: 아버지의 여자 형제
- 고모부: 고모의 남편
- 당고무: 아버지의 사촌 누이
- 재당고모: 아버지의 육촌 누이
- 내 종형제: 고모의 아들, 딸
- 대고모: 아버지의 고모
남편이 알아야 할 호칭
관계상황 | 호칭어 | 지칭어 |
---|---|---|
장인 | 아버님 | 장인어른 |
장인어른 | 아버님 | 외할아버지(자녀) |
장모 | 어머님 | 장모님 |
장모님 | 어머님 | 외할머니(자녀) |
아내 | 여보, 당신 | ~엄마, 어미, 집사람, 처, 아내,~엄마 |
아내의 오빠, 남동생 | 형님 | 처남, 외삼촌이나, 외숙부(자녀) |
아내의 언니 | 처형 | 처형,이모(자녀) |
아내동생의 아내 | 처남댁 | 처남댁, 외숙모(자녀) |
아내 언니의 남편 | 형님 동서 | 형님,동서,이모부(자녀) |
아내 여동생의 남편 | 동서 ~ 서방 | 서방님, 이모부(자녀) |
아내의 여동생 | 처제 | 처제님, 이모(자녀) |
부인이 알아야 할 호칭
관계상황 | 호칭어 | 지칭어 |
---|---|---|
시아버지 | 아버님 | 시아버님, 할아버지(자녀) |
시어머니 | 어머님 | 시어머님, 할머니(자녀) |
남편 | 여보 당신 | 아범,애비,그사람,그이,애아빠,바깥양반,남편 |
남편의 형 | 아주버님 | 시아주버님,큰아버지 |
남편의 동생 | 도련님 서방님 | 도련님,서방님,삼촌(미혼),작은아버지(자녀) |
남편 형의 아내 | 형님 | 형님 |
남편 누나 | 형님 | 형님,고모(자녀) |
남편 누나 남편 | 서방님 | 서방님.고모부(자녀) |
남편 동생의 아내 | 동서 | 동서 작은어머님(자녀) |
'촌수’와 '호칭’은 한국의 가족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들은 가족 간의 혈연적 거리와 그에 따른 호칭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가족 간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칭은 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족 간의 관계와 존중을 나타냅니다.
댓글